-
목차
울산과 강원에서 시작된 회복세, 지방 부동산의 반등 신호일까?
지방 부동산 시장이 오랜 침체를 벗어나 서서히 회복의 기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울산, 충북, 전북 등 일부 지역에서는 아파트 실거래가가 상승하거나 보합세를 유지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울산 남구 선암동의 스위트빌 아파트(전용 153㎡)는 최근 4억 3,000만 원에 거래되며 단지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이는 1년 전보다 약 1억 원이 상승한 수치입니다. 강원도 속초의 '속초롯데캐슬인 더스카이'(84㎡형)도 직전 거래보다 15% 상승한 5억 2,500만 원에 매매되며 지역 시장에 반등 신호를 주고 있습니다.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지방 주택 종합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09% 하락하며 19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였지만, 하락폭은 점차 둔화되고 있습니다. 전북(0.11%), 충북(0.08%), 강원(0.02%)은 상승 전환되었고 울산은 보합세를 나타내며 일부 지역 중심의 회복세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청약 양극화 심화: “될놈될” 단지에만 몰리는 수요
지방 청약 시장은 회복세와는 별개로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부산 해운대구의 '르엘 리버파크 센텀'입니다. 이 단지는 1순위 청약에서 1,961 가구 모집에 9,150명이 몰리며 평균 경쟁률 4.66대 1을 기록했고, 특히 전용 84㎡ 타입은 56 가구 모집에 무려 6,517명이 신청해 116.4대 1이라는 경이로운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같은 시기 대전과 충남 등에서는 1순위 청약조차 미달되는 곳이 속출했습니다. 충남의 한 단지는 450가구 모집에 단 10명이 접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수요는 입지와 희소성, 브랜드 파워가 결합된 일부 단지에만 집중되고 있으며, 지방 5대 광역시 평균 분양가가 ㎡당 602만6,000원으로 상승한 가운데, 실수요자들은 ‘입지 프리미엄’과 ‘가치 상승 기대감’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대형 평형이 이끄는 틈새 시장… 공급 부족이 만든 고경쟁
2025년 상반기 청약 경쟁률 분석 결과, 지방에서는 전용 135㎡를 초과하는 대형 평형이 평균 19.8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수도권 대형 평형의 4.1대 1보다 5배 가까이 높은 수치입니다. 이는 단순한 우연이 아닌 구조적인 희소성에서 비롯된 현상으로, 지방 대형 평형의 공급은 23 가구에 불과해 수도권의 10분의 1 수준에 그쳤습니다.
지방의 경우 가족 단위 거주 수요가 많고 넓은 주거 공간에 대한 선호가 높아 대형 평형에 대한 실수요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울산, 세종, 광주, 충남 등은 거래량 회복세를 보이며 특히 대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높습니다. 강원도 속초처럼 중소도시에서도 고급 평형대가 고가에 실거래된 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지방 대형 평형 시장은 투자 및 실거주의 ‘틈새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청약통장 감소와 미분양 증가, 구조적 불안요인은 여전
지방 부동산 시장이 회복 흐름을 보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전반적인 반등이라 보기엔 이릅니다. 미분양 물량 증가, 지역 경기 침체, 인구 감소 같은 구조적인 리스크가 여전히 상존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구와 경북·경남권은 공급 과잉 및 경기 부진으로 인해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실거래가 역시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꾸준히 감소 중입니다. 2025년 6월 말 기준으로 전국 가입자는 2,511만 명으로 전년보다 39만 명 이상 줄었고, 이 중 지방 5대 광역시에서만 13만 명 이상이 이탈했습니다. 고분양가와 낮은 당첨 확률, 그리고 대출 규제 등이 겹쳐 ‘청약 피로감’이 누적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지방 부동산 시장의 안정적 회복을 위해서는 단순한 규제 완화보다는 일자리 창출, 교통 인프라 개선, 공급 조절 등 지역 맞춤형 대책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결론
지방 부동산 시장은 지역별로 온도차가 극심한 상황입니다. 울산, 강원, 충청 등 일부 지역에서는 회복 조짐이 보이지만, 공급과잉 및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지역도 여전히 많습니다. 청약 시장 또한 '될놈될' 현상과 대형 평형 선호, 미분양 누적 등 여러 이슈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정책적 세밀함과 투자자 주의가 동시에 필요한 시점입니다.
'뉴스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책 정리] 6.27 부동산 대책, 쉽게 풀어보기 (0) 2025.07.05